대구의 맨발산책로는 여러 곳이 있는데, 제가 가본 곳 중에서 좋은 곳 7곳을 정리했다. 맨발산책로는 보는 사람에 따라 호, 불호가 달라서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은 어렵고. 제 나름대로 단순 정리하여 올린다.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가까운 곳에 산책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요 맨발 산책로는 봉무공원 맨발산책로, 세천교에서 강창교간 맨발산책로, 서지리 수변생태공원 맨발산책로, 앞산 자락길 제1코스인 고산골에서 강당골 사이 맨발산책로, 명봉산 맨발산책로, 수성못 맨발산책로, 앞산 자락길 제6코스인 달비골 관리사무소-평안동산 구간 맨발산책로(달서구) 등이 있다. 그밖에 아양로에서 반야월까지의 금호강둑 맨발산책로, 진천천 둑방길 맨발산책로, 대구수목원 내 일부 구간 맨발산책로 등이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좋은 곳이 있으면 댓글로 적어주길 바란다. 그러면 바로 방문한 뒤 추가 보완하여 올릴 예정이다.
▣ 맨발 산책의 효능
최근 맨발 걷기가 건강에 좋다고 하여 많은 지자체에서 맨발 산책로를 경쟁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맨발 산책의 효능은 통증과 염증 감소, 수면의 질 개선, 면역체계의 강화, 심장질환 발병률 감소, 두통과 생리통, 근육통 완화, 전자파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1. 봉무공원(단산지) 맨발산책로(동구 봉무동)
봉무공원은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있는 호수공원인데, 호수 이름은 단산지로 저수지이다. 봉무공원 내부에 야영장과 나비생태원이 있으며 그래서 나비공원이라고도 불린다. 단산지 전체 둘레길은 3.5km를 모두 맨발 산책로 완벽하게 조성해 놓진 않았지만, 맨발로 산책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단산지 호수를 보면서 걷는 길은 아주 풍경이 좋았다.
봉무공원 면적은 4만 5,946㎡이고, 공원에는 테니스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농구장, 롤러스케이트장, 씨름판, 체력단련장 등의 각종 체육시설이 있다. 공원 내부에 있는 호수인 단산지(丹山池)에는 수상스키, 웨이크보드, 바나나보트, 플라잉피시, 수상자전거 등의 수상스포츠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야외공연장, 야영장, 나비생태원, 나비생태학습관, 어린이놀이터 등의 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 방문 정보 팁!
① <봉무공원 주차장>을 검색해서 가면 봉무공원 입구에 넓은 주차장이 있다. 특히 전기차충전소도 있어서 좋았다. 봉무공원에는 입장료와 주차료는 없다.
② 봉무공원내에는 봉무나비생태원이 있으니 관람하면 더욱 좋다.
③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동구 팔공로50길 66번지(봉무동)/ 연락처: 053-662-2623


2. 세천교에서 강창교간 맨발산책로(달성군 다사읍)
대구 세천교에서 강창교 사이의 맨발산책로는 전 구간이 황토 흙길로 되어 있어 상당히 좋은 맨발산책로이다. 다만, 전체 구간의 약 65%가 한쪽 편에만 나무가 있어 그늘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다만 대구시내에서 볼 때 한 쪽에 치우친 느낌이 있지만, 전 구간이 황토길이라 좋다.
저는 강창교와는 반대편에 살고 있어 잘 가지 않는 코스이지만, 지인들이 좋다고 추천하여 가보았다. 이곳을 일명 <다사 금호강 꽃길>이라고도 한다.


달성군 <다사 금호강 꽃길>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와 달성군을 잇는 강창교와 다사읍 죽곡리와 세천리를 잇는 세천교 사이에 있으며 총연장 편도 2.1km이다.


▣ 방문 정보 팁!
1. 자동차를 가지고 가는 분은 내비게이션에서 <세천교 족구장>을 검색해서 가면, 세천교 다리 밑에 있는 넓은 주차장으로 안내한다. 그곳에 주차하고 <다사 36홀 파크골프장> 입구 쪽으로 가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언덕길을 지나면 입구가 있다. 저는 이쪽으로 갔다.
2. 만약 강창교 쪽에 주차하고 싶은 분은 <대구 강창교>을 검색해서 가길 바란다. 그곳에 주차하고 왕복해도 될 것이다.
3. 물론 양쪽 모두 주차료는 없다.
4. 세천교 족구장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387번지.

3. 서리지 수변생태공원 맨발산책로(북구 동호동)
대구 북구 동호동에 있는 서리지 수변생태공원은 북구청에서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더불어 서리지 일원에 수변생태공원을 조성하여 주민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힐링 공간을 제공하였다. 수변생태공원에는 특색있는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고, 어린이 놀이터, 팔각정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규모는 89,673㎡이고, 주요 시설로는 보도교, 가드닝 체험원, 화장실, 자전거 보관대, 원형광장, 어린이놀이터, 둘레길, 관찰원, 습지원, 쉽터, 다목적 마당 등을 조성하였다. 사업 기간은 2015~2018년이다. 서리지 전체 둘레길을 맨발 산책로로 조성해 놓았고, 중간 큰 나무를 중심으로 원형의 맨발 산책로도 조성되어 있다.


▣ 방문 정보 팁!
① 내비에서 <서리지 수변생태공원 주차장>을 검색해서 가면 제1, 제2 주차장이 있고, 주차료는 무료이다.
② 대구 지하철 3호선 북구 동호동 차고지 바로 뒤편에 있어 이용하는 분들이 적다.
③ 위치;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 73번지/ 연락처; 053-665-2855

4. 앞산 자락길 제1코스; 고산골에서 강당골 사이 맨발산책로(남구 봉덕동)
앞산 자락길은 남구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에서 달서구 달비골 청소년수련관까지 이어지는 총길이 15km 6시간 정도 소요되는 구간으로 기존의 등산로와는 달리 앞산순환도로에서 일정 높이의 떨어진 거리를 두고 등고선을 따라 산자락 부에 기존의 산책로와 오솔길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조성된 길이다.
그런데 자락길 제1코스인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에서 강당골까지 편도 1.9km를 인데, 숲길과 맨발 산책로 2개 코스가 있다. 이 코스는 숲길 자락길도 있고, 별도 맨발 산책로를 편도 1.0km가 조성되어 있어 맨발로 걷는 분들도 많이 있다.





▣ 방문 정보 팁!
① 자동차를 가지고 갈 경우내비에서 <고산골 공영주차장> 또는 <강당골 공영주차장>을 검색하여 가면 된다. 고산골 공영주차장이 경우 하루 종일 주차료는 2천원이다.
② 고산골 공용주차장 근처에 대구 공룡공원이 있고, 이곳에서 산성산까지의 정상코스, 장엄사 근처 용두골 코스, 앞산 달비고개 등산코스 등 등산로가 많이 있다.
③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 주변 고산골 공영주차장 주소; 대구시 남구 용두2길 43번지(봉덕동 1256번지)

5. 명봉산 맨발산책로(북구 읍내동)
대구 명봉산(明峰山)은 옛날 큰일이 일어났을 때 봉화를 밝힌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경북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와 대구시 북구 읍내동에 걸쳐있는 산이다. 해발고도 402.1m로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낙동층군의 동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 가는 분은 입구찾기가 어려우니. 방문정보팁에 있는 아래 주소를 검색하여 가길 바란다.
명봉산으로 올라가는 길은 대구 쪽에서 3개 정도의 지점이 있는데, 중앙고속도로 지하통로를 거쳐 관음동의 산불감시초소 쪽으로 가는 것이 좋다.





명봉산의 맨발 산책로 숲속에 조성되어 있어 나름대로 힐링 코스로 적합하다. 맨발 산책로는 1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참나무류와 소나무로 울창한 숲속에 황토볼길 20m와 마사토길 800m 구간을 조성하였다. 바로 옆에 등산로가 별도 있어 더욱 좋았다. 최근에 조성되어 비교적 한적한 편이다. 입구에서 명봉산 정상까지의 코스는 편도 4.0km인데, 산속이고 사람이 적어 2명 이상 되면 올라가길 추천한다.

▣ 방문 정보 팁!
① 자동차로 가는 분들은 내비게이션에서 <북구 관음로 179-30>을 검색해서 가길 바란다. 또는 북구 <양지마을 토담집 053-312-3995>을 검색해서 가면 바로 공터의 공영주차장이 있다. 그곳에 주차하고 300m 정도 올라가면 명봉산 입구에 10여 대 주차할 수 있는 공터가 있다. 평일 아침에는 이곳에 주차할 수 있지만 주말에는 밑에 있는 공용주차장에 주차하고 가길 바란다. 이곳 입구는 찾기가 좀 어렵다. 그래서 내비에서 위의 주소를 검색해서 가길 바란다. 칠곡 IC에서 동명 쪽으로 500m 정도 가다가 우측으로 굴다리를 통과하여 들어가면 된다. 물론 주차료는 없다.
② 위치: 공영주차장; 대구 북구 관음로 179-30번지

6. 수성못 맨발산책로(수성구 두산동)
수성유원지는 수성구 무학로 78(두산동)에 위치한 호수공원이다. 1927년 4월 24일 규모 1,063,778㎡, 못둘레 2,020m, 저수량 70만 톤으로 인공 조성되었다.
사실 수성유원지보다는 수성못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성당못과 함께 대구에서 잘 알려진 대형 연못이다. 대구 시민들의 가족 나들이 코스, 연인들의 주요 데이트 코스이며 오리배 타기에도 좋다. 시내에 있어 접근로는 좋지만 숲 그늘이 적다.



2010년~2013년 말에 생태환경 조성 사업으로 새 단장 하였고, 데크가 새로 생겼다. 이후 대구 시민들의 가족 나들이 코스, 산책 코스, 연인들의 주요 데이트 코스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으로 전체 둘레길을 맨발 산책로 조성되어 낮과 밤 모두 맨발로 산책하는 분들이 많다. 전체 둘레길 약 2.0km가 맨발 산책로이다. 한 바퀴 도는데 약 30분 정도 소요되고 발 씻는 곳이 별도 있다. 두세 바퀴 도는 분들도 많이 있다고 한다.

▣ 방문 정보 팁!
① 시내에 있어 수성못 주변에 주차하기가 어려워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가는 것이 좋다. 지하철 3호선 수성못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② 자동차를 가지고 가는 분은 수성못 수성관광호텔과 수성못역 중간 근처에 있는 하나의 공영주차장에 주차하고 가도 된다. (공영주차장 주소; 수성구 두산동 696-3번지, 수성못 근처에 다른 곳도 있다)
③ 수성못 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78번지(두산동)

7. 앞산 자락길 제6코스인 달비골 관리사무소-평안동산 구간 맨발산책로(달서구)
앞산 자락길 제6코스는 자락길 마지막 구간인데, 달비골 관리사무소에서 평안동산까지의 편도 3.8km의 구간이다. 이 코스에서 달비골관리사무소에서 평안동산 200m 전까지 모래길로 되어 있어 맨발로 산책하는 분들이 많이 있다.




달비골은 근처 대덕산(해발 584미터)과 바로 옆 청룡산이 만든 골짜기이다. 남구 고산골부터 시작된 앞산 둘레길의 마지막 구간이 바로 달비골이다.
평안동산은 6.25 한국전쟁 때 대구로 온 평안남도 피란민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산 땅이었는데, <평안남도민회>에서 훗날 앞산 공원이 출범하면서 달비골도 시민의 휴식 공간이란 일념으로 귀한 부지를 시민의 공간으로 내놓은 것이다. ‘평안도 피란민의 동산’이기도 하지만 통일의 여망을 담은 공간이기도 하다. 펑안동산 200m 전 부터는 시멘트로 된 도로이다. 그래서 맨발로 걷는 분들은 여기까지 걷는 분들도 있다.



▣ 방문 정보 팁!
① 차를 몰고 가는 분들은 <달서구 청소년수련관> 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가면 된다. 이곳에 주차하고 바로 구름다리를 건너면 앞산 자락길 6코스 구간이다. 주차료는 무료이다.
② 물론 달비골관리사무소 100m 전에도 10여 대 주차할 수 있는 공터가 있지만, 주차 공간이 넓은 달서구 청소년수련관에 주차하는 것을 추천한다. 청소년수련관에서 <달비골관리사무소>까지는 약 600m 걸어가야 한다.
③ 달서구 청소년수련관 주소; 대구 달서구 상화로 420번지/ 연락처; 053-639-7101

2023.08.15 - 대구 봉무공원 맨발산책로 후기! 단산지와 봉무나비생태원 등 대구 최고수준 맨발 산책로! [이춘근 티스토리 954회]
대구 봉무공원 맨발산책로 후기! 단산지와 봉무나비생태원 등 대구 최고수준 맨발 산책로! [이
봉무공원은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있는 호수공원인데, 호수 이름은 단산지로 저수지이다. 봉무공원 내부에 야영장과 나비생태원이 있으며 그래서 나비공원이라고도 불린다. 신숭겸장군유
cklee88.tistory.com
2023.08.10 - 대구 앞산 자락길 제1구간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 강당골 왕복 4.0km 후기- 대구 최고 수준 맨발 산책로 후기! [이춘근 티스토리 949회]
대구 앞산 자락길 제1구간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 강당골 왕복 4.0km 후기- 대구 최고 수준 맨발
앞산 자락길은 고산골 메타세콰이어길에서 달비골 청소년수련관까지 이어지는 총길이 15km 6시간 정도 소요되는 구간으로 기존의 등산로와는 달리 앞산순환도로에서 일정 높이의 떨어진 거리를
cklee8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