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13

은퇴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은퇴 준비의 효율적인 전략은? [이춘근교수 경제상식 티스토리 115회; 연금과 노후준비#11]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100세 인생시대를 살고 있다. 40-50 세대가 실패를 줄이려면, 인생 선배들의 조언과 은퇴 설계를 30-40대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 UN이 2015년 발표한 인류의 새로운 연령기준에 따르면, 18~65세가 ‘청년’, 66~79세는 ‘중년’, 80~99세가 ‘노년’이다. 기존에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던 노인 연령보다 무려 10~20년 가까이 젊어져버렸다. 65세는 이제 노인이 아닌 청년이며 80세는 되어야 노년이 되는 셈이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연령이 50대가 51.9%로 가장 높고, 그 다음 40대가 21.4%, 60-64세가 11.2%, 30대가 7.4% 등이다.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

국민연금을 더 많이 받는 5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이춘근교수 경제상식 티스토리 114회; 노후준비 #10]

국민연금은 노후 소득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회보장제도이다. 국민연금이란 소득이 있을 때 매월 꾸준히 보험료를 냈다가 나이가 들어 생업에 종사할 수 없어졌거나,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으로 장애를 입거나 사망하였을 때 매월 연금을 지급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소득보장제도이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공적·사적 연금제도가 평행적인 발전의 길을 걸어온 반면, 이탈리아와 스웨덴을 비롯한 국가들에서는 후한 퇴직 급부금(給付金)을 지급하는 사회보장제도가 사적 연금제도의 발전을 다소 방해해왔다. 그러나 독일(옛 서독)처럼 광범한 사회보장 급부에도 불구하고 사적 연금제도가 널리 채택되어 온 나라들도 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는 전두환 정부 때인 1986년 12월 기존의 「국민복지연금법」을 「국..

과거 금리인상의 영향 분석, 향후는 어떻게 되나?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13회]

최근 8월 2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전격 인상하며 가계부채에 대한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채 감축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0.5%의 초저금리 시대가 종료하고, 15개월 동안의 보합세에서 금리인상을 본격화된 것이다 . 이는 테이퍼링을 검토하고 있는 미국보다도 선제적이다. 8월 29일 매일경제가 한국경제연구원에 의뢰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이번 금리 인상 전까지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기의 경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잇단 금리 인상에도 집값과 가계부채의 상승세는 꺾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은 국내 금리 동향보다 미국 등 전 세계 경제 영향을 더 크게 받았고, 부동산 자산은 주택 공급과 세제 등 국내 정책 입김을 훨씬 더 크게 받았기 ..

2020년 신규 상장기업 주가상승률 Top 10 종목은 어떤 기업인가? [이춘근 경제상식 112회; 주식투자 #22]

작년 1년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30.8%와 44.6%나 상승했다. 세계 주요국 주가지수 가운데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상승이 2021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다분히 조정국면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각종 경제지표에 비해 주가가 과대평가 국면에 이미 들어선 만큼 투자의 기대수익률을 점차 낮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언제 하락국면으로 돌아설지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한바탕 크게 오른 뒤 시장이 어떤 계기로 꺾이면, 하락 조정폭도 그만큼 컸던 게 과거 증권시장의 교훈이다. 3월 15일 만료되는 공매도 금지 기간 연장 여부도 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는 작년 12월 30일 2020년 우리나라 증시의 주요 특징과 성과를 발표했다. /우..

2020년 ETF종목 1년간 상승률 Top 20 종목은 어떤 종목인가? [이춘근 경제상식 111회; 주식투자 #21]

작년 1월 2일부터 12월 30일까지 1년간 한국거래소 ETF종목 421개 종목 중에서 상승률 최상위 20개 종목을 제가 직접 계산하여 정리해 보았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자산운용사가 발행하는 펀드 상품을 주식시장에 상장시켜 거래하도록 하는 금융상품이다. 상장지수펀드는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이며, 섹터펀드는 특정업종에 속해 있는 대표적 기업들의 주가지수와 연동해 수익률을 올릴 수 있도록 한 펀드를 말한다. 개별 주식상품에 투자하길 꺼리거나 시간이 부족하여 직접투자하기 어려운 ..

와이엠텍(YM Tech) 공모일정과 청약방법, 상장일 대응방향!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10회; 주식투자 #20]

전기차 부품업체 ㈜와이엠텍이 9월 10일 코스닥에 상장한다. 와이엠텍은 지난 8월 2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절차에 들어갔다. 총 공모주식 수는 60만주다. 희망 공모가는 주당 2만1000~2만5000원으로, 총공모 예정금액은 126억~150억 원이다.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은 오는 8월 25~26일 이틀간 진행했다. 최종 공모가를 기준으로 8월 31일에서 9월 1일까지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청약을 받는다. 이후 9월 10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만 성장 유망업종이라 정리해 보았다. 와이엠텍은 지난 2004년 설립됐다. 전기차(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인버터 등에 들어가는 직류 고전압 릴레이(Relay)를 주로 만..

OECD 국가의 소득불평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우리나라는 30위로 나쁜 편이다.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9회; 경제진단 #58]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소득불평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는 지니계수이다. 지니계수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로 0~1 사이의 값으로 매겨지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해지는 것을 뜻한다. 지니계수는 인구누적비율과 소득누적비율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까지의 수치를 나타낸다. 낮은 수치일수록 더 평등한 수치를 나타내고, 높은 수치일수록 더 불평등한 소득분배를 나타낸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5분위 분배율, 10분위 분배율, 팔마비율, 로렌츠곡선, 상대적 빈곤율, 빈곤 갭율 등의 지표가 있다. 지니계수의 개념을 로렌츠곡선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평등 면적인 Z를 삼각형 OAB 면적으..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유보율 상위 21-60위 종목은 어떤 기업인가?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8회; 주식투자 #19]

이춘근의 티스토리인 ‘경제상식과 시사정보’ 107회차에서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유보율 상위 20개 종목을 정리하고 유보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투자전략을 설명하였다. 이번 108회차에는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유보율 상위 21위에서 60위 까지의 기업을 정리했다. 투자자들은 의외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 같아 정리했다. 유보율(Reserve ration)이란 영업 활동에서 생긴 이익인 이익잉여금과 자본거래 등 영업 활동이 아닌 특수 거래에서 생긴 이익인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코스피시장에서 유보율이 높은 상위 21위에서 60위까지의 기업은 다음 표와 같다. 21위에서 30위까지의 기업은 셋방전지, 롯데푸드, 한국단자, 아모레퍼시픽, 디티알오토모티브, 미원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유보율 상위 20개 종목은 어떤 기업이고, 주식 투자전략은 어떻게 해야 하나?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7회; 주식투자 #18]

주식투자 시 중요한 정보의 하나는 해당 기업의 유보율을 참고하는 것이다. 유보율(reserve ration)이란 영업 활동에서 생긴 이익인 이익잉여금과 자본거래 등 영업 활동이 아닌 특수 거래에서 생긴 이익인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기업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력을 측정하는 재무제표의 하나의 항목으로 기업의 사내 자금 보유력을 나타내는 재무건전성 및 안전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의 하나이다. 또한, 기업 스스로 얼마만큼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기업의 설비확장이나 재무구조 안정을 위해 어느 정도 사내유보가 되어 있는가를 나타내준다. 일반적으로 유보율이 높은 기업은 기업의 유동성(현금보유)이 높아서 만약의 돌발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여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미국 연준(Fed) 테이퍼링 조기 가능성 시사, 글로벌 증시 동시 하락! [이춘근 경제상식 106회; 주식투자 #17]

미국 연준의 조기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이 글러벌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8월 18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위원들이 연내 테이퍼링 필요성을 논의했다는 소식이 공개되자 뉴욕 증시가 1% 안팎의 하락세를 보였고, 이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 증시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8월 19일에도 소폭 하락세로 출발했다. 올해 들어 3010~3200선을 오르내리던 코스피가 3060선까지 밀리자 개인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8월 20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0% 떨어져 3060.51로 마감했는데, 이는 지난 3월 말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공식화하고, 국내 상장사 실적이 정점을 찍..

부자들의 성공적인 주식투자 방법은 무엇인가? -여유자금으로 우량주에 장기 투자해야!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5호; 주식투자 #16]

주식투자로 돈을 버는 방법은 2가지이다. 즉 시세차익과 배당수익으로 돈을 벌 수 있다. 대부분 투자자는 주로 시세차익에 더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저는 이춘근방송 161회차 방송에서 부자들의 주식투자패턴에 관해서 설명했다. 작년 1년 동안 30억 이상 계좌를 가진 부자들은 약 41.8%의 수익을 냈고, 1000만 원 미만 투자자는 8.9%의 수익을 냈다고 했다. 일반 개인들은 단기간에 승부를 보길 원하지만, 부자들은 장기적으로 시간을 자기편으로 만들어 투자한다는 것이다. 즉 부자들은 바닥에서 우량주를 사서 오래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부자’라는 말은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부자에게 기대되는 성품과 철학을 갖춘 사람이라는 뜻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부자들이 자신의 부를..

사모펀드의 정의와 특징, 제도 개편은? 사모펀드 분류와 투자전략은?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4회; 주식투자 #15]

최근 증권사이트 앱에 들어가서 해당 종목의 매일 매일의 투자자 동향을 보면, 개인과 외국인, 기관으로 세분되고, 이를 더욱 자세히 보면, 프로그램매매, 금융투자, 보험, 투신, 은행, 사모펀드, 기타 금융, 연기금 등, 기타법인, 기타외국인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하나인 사모펀드에 대해서 알아본다. 과거대비 사모펀드 거래액이 크게 증가하여 분석한다. 우리나라의 사모펀드(PEF; 정식명칭은 사모투자전문회사)는 IMF 이후 국내 우량기업들이 외국자본에 의해 인수되면서 막대한 국부가 유출된 데 대한 반성으로 국내기업을 인수할 수 있는 국내 토종자본을 육성하자는 취지에서 2004년 처음 도입되었다. 사모펀드는 외환위기 이후 해외 사모펀드의 국내 진출이 급증하였으나 국내 펀드들은 공모 중심의 법제로 인해 투자가..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란 무엇인가? 이때는 소비가 미덕이고 저축이 악덕이다! [이춘근 경제상식 티스토리 103회]

글로벌 경기침체 현상을 보일 때 가계와 기업, 정부는 소비를 많이 하지 않고 저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사람이 소비 대신 저축만 하면 불황을 촉발한다는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절약의 역설은 미국의 경제학자 케인스(J.M.Keynes)가 처음 주장한 것으로 개인의 저축증가가 국가 전체의 저축 증가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즉 개인이 절약하여 저축을 늘리고자 노력해도 국민전체의 저축 증대로 연결되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란 개인으로 볼 때는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사회 전체로 볼 때는 오히려 소득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절약의 역설은 투자기회가 부족하여 저축이..

우선주의 매력과 투자전략은 무엇인가? - 배당수익률과 괴리율이 높은 종목은 어떤 종목인가? [이춘근 경제상식 102회; 주식투자#14]

저는 주식에 관한 투자를 약 40년간 해 왔지만, 전업투자자가 아니다. 중장기적으로 느긋하게 투자해서 어느 정도 수익을 내고 있다. 주식은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는데, 보통주는 주식회사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유가증권이다. 보통주는 회사 경영을 통해 발생한 이익배당이나 잔여재산 처분 등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떠한 우선적 권리와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 주식이다. 우선주는 주식 이름 끝에 '우'라는 표시가 있으며 이익에 대한 배당이나 잔여재산 처분 등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통주보다 우선적인 권리를 가지되 의결권이 없다. 우리나라 우선주의 경우 대부분 배당금을 더 많이 주되 의결권이 없는 주식이다. 우선주의 가장 큰 특징은 주주총회 의결권은 없지만, 배당이나 잔여재산을 분배할 때 보통주보다 우선권이 있다. ..

코닥은 파산하고, 후지필름이 성공한 이유는?-실패와 성공경영 사례의 교훈! [이춘근 경영진단 티스토리 101회; 경제진단 #56회]

과거 필름산업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던 미국의 코닥과 일본의 후지필름의 경험사례를 소개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내용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아날로그필름의 전성기 시절에는 미국의 (이스트만) 코닥, 독일의 아그파필름. 일본의 후지필름 등이 세계 3대 필름회사가 있었는데, 선두주자는 코닥이었다. 2000년을 정점으로 전 세계 필름시장이 연간 20~30%씩 감소해 가자 2005년에 140년 역사의 독일 아그파가 파산하였고, 131년 역사의 코닥은 2012년 1월 19일에 파산 보호 신청을 하였다. (코닥은 이후 2013년 9월 4일에 필름 및 카메라 사업부를 매각함과 동시에 ‘인쇄의 기술적 지원, 전문가들을 위한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업으로 회생했다). 코닥(Kodak)은 1882..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실효환율의 개념과 차이는? [이춘근 경제상식 40회]

환율이란 한나라의 화폐와 다른 나라의 화폐간 교환비율로서 두 나라 통화의 상대적 가치를나타낸다. 환율을 표시하는 방법은 어느 국가 통화를 기준으로 나타내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외국통화 한단위당 자국통화 단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자국통화표시법 또는 직접표시법이라 한다. 우리나라는 자국통화표시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US $1=1,150원’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한다. 이와 반대로 자국통화 한단위당 외국통화 단위수로 표시하는 경우를 외국통화표시법 또는 간접표시법이라 한다. 유로지역에서는 외국통화표시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1= US$1.2’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하고 있다.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 외환의 수요와 공급은 외환시장 참가자들의 기대와 국내외 경제..

은퇴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은퇴 준비의 효율적인 전략은? [이춘근 티스토리 100회; 노후준비와 연금 #9]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100세 인생시대를 살고 있다. 40-50 세대가 실패를 줄이려면, 인생 선배들의 조언과 은퇴 설계를 30-40대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 UN이 2015년 발표한 인류의 새로운 연령기준에 따르면, 18~65세가 ‘청년’, 66~79세는 ‘중년’, 80~99세가 ‘노년’이다. 기존에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던 노인 연령보다 무려 10~20년 가까이 젊어져버렸다. 65세는 이제 노인이 아닌 청년이며 80세는 되어야 노년이 되는 셈이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연령이 50대가 51.9%로 가장 높고, 그 다음 40대가 21.4%, 60-64세가 11.2%, 30대가 7.4% 등이다.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

네이버와 카카오의 코인시장 경쟁! 가상화폐 링크와 클레이의 경쟁! [이춘근 경제이야기 99회; 주식투자 #13]

네이버의 일본 관계사 라인이 발행한 암호화폐 ‘링크’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의 비트코인(Bitcoin, BTC) 마켓에 상장되었다. 8월 12일 빗썸에 따르면, 빗썸은 전날 오후 공지사항을 통해 8월 11일 오후 6시부터 링크(LN)의 입출금 주소가 빗썸 내에 오픈되고, 8월 13일 BTC마켓에 상장된다고 했다. 라인 블록체인 측 역시 같은 시각 빗썸 상장 소식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링크는 라인이 개발한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인 ‘링크체인’의 기축 암호화폐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양대 빅테크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경쟁을 거듭하는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양사가 경쟁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다. 카카오도 최근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해 그동안 자회사 그라운드X가 주도했던 블록체인 사업을 싱..

개인이 공매도를 모르면 주식 투자하지 않아야 한다! 또 공매도 상위 거래 종목은 어떤 기업인가? [이춘근 경제상식 98회; 주식투자 #12]

개인이 공매도를 모르면 주식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공매도 상위 거래 종목은 어떤 기업이고,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라는 내용을 가지고 설명한다. 개인들이 공매도를 모르면 주식투자 시 거의 백전백패한다. 공매도는 남의 주식을 빌려서 판 다음 가격이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주식을 사서 갚고 차익을 남기는 제도이다. 투자자들은 대부분 외국인과 기관으로 이른바 하락장에서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이다. 공매도(short selling, 空賣渡)는 공(空)자가 빈공 자로 글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이다. 공매도는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하는 것이다. 공매도의 종류는 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무차입 공매도가 금지되어 있어 못한다. 차입 공매도는 차입한 증권으로 결제..

주식투자 재무지표인 PER과 PBR, ROE와 ROA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이춘근교수 경제상식 97회; 주식투자 #11]

주식투자 재무지표인 PER과 PBR, ROE와 ROA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 라는 내용을 가지고 설명한다.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득분석법, 자산분석법, 시장분석법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소득분석법은 미래의 소득흐름을 할인율(discount rate)을 통해 현재가치로 전환시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자산접근법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으로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기업의 본질적인 역량은 미래의 수익인데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유형 자산이 거의 없는 지식 서비스업에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시장접근법은 기업가치를 잘 반영해낼 수 있다고 생각되는 지표를 동종업계와 비교하여 기업가치를 유추해 내는 방법이다..

반응형